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학급긍정훈육법-친절하며 단호한 교사의 비법 관계 형성이 먼저입니다. 모든 시작은 관계부터입니다. 학생과 교사의 신뢰 위에서 학급경영은 꽃을 피웁니다. 학생은 긍정의 관계 위에 마음을 다해 학급에 함께합니다. 그 어떤 수업기술, 학습훈련도 두터운 관계가 없다면 힘을 쓸 수 없습니다. 학생들이 교사와 유대감을 갖게 되려면 교사가 학생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는 믿음이 반드시 필요하다. 교육자이자 축구협회 심판이었던 제임스 터니 박사는 '관심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는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터니 박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관심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교사들이 자신을 화나게 하거나 말을 잘 따르는 학생에게만 관심이 있다고 생각한다. (p110) 사소함을 표현합니다. 교사가 생각하는 것보다 학생.. 더보기 행복한 교실을 위한 123 매직 행복한 교실은 건강한 관계에서 시작됩니다. 학생들은 신뢰가 기반된 학급 규칙을 지킵니다. 학생과 교사의 신뢰가 학급 분위기를 만듭니다. 교사가 지향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건강한 관계가 필요합니다. 학생을 칭찬해주고, 가벼운 농담을 주고받고 용서하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3가지 행동은 관계를 강화해줄 뿐 아니라 학생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놀라운 효과를 가져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른은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긍정적인 표현을 적게 합니다. '우리는 화나면 말하고, 행복하면 침묵'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어른들은 화가 나면 아이들에게 필요 이상으로 잔소리를 하지만 아이들이 잘할 때는 전혀 피드백을 해주지 않습니다. (p265) by토마스W.펠런 세라 제인 쇼너 습관적.. 더보기 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존중이 가득한 학급의 분위기를 만듭니다. 존중의 힘을 믿습니다. 존중은 긍정의 마음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일련의 행동으로 긍정적인 시선보다 부정적인 시선이 가는 아이가 있습니다. 학생을 좋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좋아하지 않는 학생일지라도 좋아한다는 듯 보여주어야 합니다. 사소한 부정의 시선을 아이들은 오롯이 느끼게 됩니다. 좋아하는 척 존중하는 것도 훌륭한 교사의 능력입니다. "교사가 반드시 학생들을 좋아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들을 좋아한다는 듯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유는 간단하다. 교사가 학생들을 좋아하는 양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지 진심으로 학생들을 좋아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p78) by토드 휘태커 칭찬으로 존중을 표현합니다. 존중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칭찬입.. 더보기 왜 학생들은 학교를 좋아하지 않을까? 학교가 싫은 이유는 학습이 재미없기 때문입니다. 많은 시간 학습이 이루어지는 곳이 학교입니다. 학습에 재미가 없으면 학교가 싫어집니다. 학습에 참여하지 못하면 학교가 재미없습니다. 왜 학생들은 학교를 좋아하지 않을까? 학습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학생과 교사 모두가 학습에 만족하는 수업을 말합니다. 인지과학자의 말로 학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중, 학습부진아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살펴봅니다. 학습에 중요한 지능은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유전이 지능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주로 환경을 통해서 영향을 준다. 지능은 분명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장의 중요한 인지 원칙은 이렇다. 아이마다 지능이 다르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지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학생들에게 지능은 가변적이라는 .. 더보기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배움을 다시 생각합니다. 배움의 공동체가 현장에서 한창 적용되던 10년 전 책을 다시 펼칩니다. 동학년 선생님 한분이 배움의 공동체에 굉장한 관심이 있었습니다. 덕분에 배움의 공동체를 알게 되었고, 마침 새로 오신 교감선생님께서도 배움의 공동체 연구회의 일원이셨습니다. 학교에서 자연스럽게 배움의 공동체의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학생의 배움에 중심을 둔 수업에 더욱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보여주는 수업이 아니라, 배움이 일어나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수업은 오롯이 교사의 몫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교사가 수업의 질을 좌우한다. 교사 중심에서만 수업을 바라보고, 교사의 발문, 학습자료, 교수 기법에만 신경을 썼습니다. 내가 가진 것을 보여주고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더보기 교실 속 자존감 교사의 시선이 학생을 살린다. 자존감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몇 년 전에는 자존감에 관한 책들이 베스트셀러 상위를 차지했고, 지금도 자존감은 큰 관심거리입니다.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들의 자존감도 많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의 행동의 원인을 자존감에서 찾기도 합니다. 자존감이 낮아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부적응 행동을 하며,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를 한 존재로서 끝까지 기다려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늘 마음을 열지 않는 아이와의 만남에서 결국은 아이의 마음을 열고 변화를 일으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포기하지 않았던 선생님과 학생의 대화가 마음에 남습니다. "무엇이 네 마음의 문을 열게 했는지 궁금하구나." 사실 그 아이는 제게 엄청난 저항을 했습니다. 저.. 더보기 교사 역할 훈련-적극적 듣기 제대로 듣고 있습니까? 수많은 말들이 오고 가는 현장입니다. 귀는 항상 예민하게 열려있습니다. 온갖 소리가 들려 때로는 정말 조용히 밥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한 때가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코로나 관련으로 조용한 점심을 먹습니다. 수없이 많은 대화들이 오가는 상황에 듣는 것이 전부일까요? 과연 제대로 듣는 것은 무엇일까요? 적극적 듣기는 마음을 듣는 것입니다. 귀로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듣고 마음을 인정해주는 것입니다. 아이가 행동을 한다는 것은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 마음을 읽어주면 자신의 상황을 깨닫게 됩니다. 아이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만나게 됩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해 주는 것만이 교사의 역할은 아닙니다.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성장시키는 것이 교사의 역할입니.. 더보기 정서적 흙수저와 정서적 금수저 내가 만들어 줄 수 있는 금수저가 있다. 금수저, 흙수저. 개인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이름 붙여진 경제 계급 용어가 색깔 수저입니다. 이제는 금수저를 넘어 다이아몬드 수저, 티타늄 수저 등이 등장할 정도입니다. 우리 반 아이들에게 이런 수저를 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는 수저는 있습니다. 올바른 애착관계를 바탕으로 정서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정서적 금수저입니다. 겉과 속이 같은가? 겉과 속이 다른가? 4년마다 한번씩 근무지를 이동합니다. 근무지에 따라 환경, 학군이 참 다릅니다. 학군에 따라 학생들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차이 납니다. 교육열이 높고 부모의 관심으로 다양한 경험을 하는 환경, 교육에 대한 열의가 낮아 학생들을 전적으로 학교에 맡기는 환경 극과 극의 경우가 있습니다. 부모..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 목록 더보기